<2024년 청년도약계좌>에 대해 알아볼까요?

1. 청년도약계좌란?
매달 70만 원 한도로 5년간 자유롭게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(최대 월 2만 4000원)과 비과세 혜택(15.4%)을 받을 수 있는 금융상품으로, 가입 대상은 만 19∼34세, 연 소득 7500만 원 이하(가구소득은 중위 180% 이하)의 청년층으로 시중은행을 통해 가입할 수 있습니다.
2. 지원내용
- 월 최대 70만 원 이하 자유적립
- 가입기간 5년(60개월)
- 이율 최대 6%(기본금리 3.8~4.5%, 가입 후 3년 고정금리, 이후 2년 변동금리)
- 비과세혜택
- 개인소득 수준 및 적금 납입금액에 따라 정부기여금 지급
☞ 개인소득 6,000만 원 초과의 경우 정부 기여금 미지급
3. 지원대상
- 신규 가입일 기준 만 19세 ~ 34세 이하
☞ 현재 연령에서 병역 이행 기간(최대 6년)을 빼고 계산한 연령이 만 34세 이하인 사람 포함
-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인 경우
☞ 육아휴직급여 및 수당만 있어도 가입가능
-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180% 이하
-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 과세기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자
☞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 연도 소득으로 인정
4. 신청방법
💕청년도약계좌 취급은행 앱을 통해 비대면 신청 및 가입 💕
5. 청년희망적금 연계가입
2024. 2월 말 ~ 3월 중에 만기 예정이시죠?
- 만기 유지 후 청년도약계좌 조건에 충족하면 청년희망적금 연계가입이 가능합니다.
- 연계신청기간은 1월 25일 ~ 2월 16일이며 취급하는 11개 은행 앱을 통해 신청하시면 됩니다.
- 신청 후 요건이 되면 계좌개설가능 통보를 받고 희망청년적금을 먼저 해지해야만 계좌개설이 가능합니다.
좀 더 자세히 알려드리자면

-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금을 일시납입 가능합니다.
☞ 최소 200만 원부터 만기 수령금 전액(최대 1300만 원)
- 일시납입을 원하시면 월 납입설정 금액으로 전환 납입됩니다.
☞ 월 납입금액 40만원,50만원,60만원,70만원40만 원, 50만 원, 60만 원, 70만 원 중 선택
😊예를 들어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금 1,260만 원을일시납입하고 월 납입금액을 70만 원으로하면 1,260만 원을나워서 내는 것으로 간주합니다.
청년도약계좌 만기는 5년이고 연계하여 납입하면 19개월 차부터 내에서 납입하면 됩니다.
5년 중 1년 6개월은 모아놓은 돈으로 납입 가능하네요!!👍
6. 청년도약계좌 만기금액
- 수익이 최대 856만 원으로 일반 적금보다 2.5배 이상 많습니다!!
- 청년희망적금 만기 1,260만 원을넣은 뒤 월 70만 원입금으로 설정하고, 이후 신규납입 시점부터 만기까지 매월 70만 원넣었을 때 (금리 6% 시) 총 납입금액은4,200만 원입니다.
- 얻을 수 있는 수익이 최대 정부기여금 144만 원 + 관련이자 712만 원으로 856만 원입니다.
(일반적금은 기대수익 약 320만 원이라고 하네요😮)
- 만기 시 4,200만 원과 856만 원을 더한 5,056만 원의 목돈이 마련됩니다.
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러 가볼까요~?
https://play.google.com/store/search?q=%EC%9D%80%ED%96%89&c=apps
은행 - Android 앱 Google Play
수백만 개의 최신 Android 앱, 게임, 음악, 영화, TV 프로그램, 도서, 잡지 등을 즐기세요. 기기 간에 공유되어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습니다.
play.google.com
지금까지 2024년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!!

'☆일상정보☆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년 달라지는 것 간단하게 확인하기 (부모 급여, 소비 기한, 군 월급, 최저임금, 대체 휴무일 등) (0) | 2023.01.06 |
---|
댓글